고려시대의 청자과형병은 당시 청자의 제작 기술과 조형에서 절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문헌상에 보이는 과瓜는 ‘덩굴에서 자라나는 많은 과’를 상징하며 참외로 생각된다. 참외를 상형화한 과형의 표현은 중국 북송(北宋, 960-1127)대 경덕진요景德鎭窯에서 합, 주자, 병으로 제작된 것이 확인된다. 본 작품은 청자병으로 꽃잎 모양으로 넓게 벌어진 구연부가 경부로 이어지며 견부에서 둥글게 부풀어 올라 저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보인다. 주름치마가 살포시 내려앉은 듯한 굽은 사다리꼴로 퍼져 병을 받치고 있는 모양이다. 경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음각으로 2단의 선문을 둘렀다. 동체에는 음각으로 선이 깊게 파여 과형병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함차랑, 「高麗時代 靑瓷瓜形甁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3.
[참고도판] <청자참외모양병靑磁瓜形甁>, 고려 12세기 전반, 高 22.6㎝, 口徑 8.4㎝, 底徑 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청자과형병靑磁瓜形甁>, 고려, 高 31.5㎝, 口徑 13.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덕수 3713).
[수록처] 포스코미술관, 『天機漏洩 高麗翡色』,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