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 구연부는 외반되어 넓게 벌어지고, 그 아래로 좁아진 경부頸部는 동하부胴下部까지 자연스런 곡선을 그리며 내려와 작지만 알찬 동체부를 가진다. 동체부에는 고격있는 매화, 대나무, 괴석 등이 서로 엇갈린 포치로 전면에 청화로 시문되어 있다. 시문된 청화는 구륵법으로 문양을 시문하여 마치 그림을 그리듯이 표현하였다. 청화의 색을 옅고 짙게 표현하여 문양을 장식하였다. 문양을 장식함에 있어 세심한 면모를 보여준다. 유색은 담청유를 전면에 시유하여 동체부에 시문된 청화의 문양이 맑게 표현되었으며, 내화토받침을 사용하여 번조하였다. 저부에는 유면으로 잡물이
스며들어 갈색빛으로 변색되어있다. 이러한 소병은 그 당시 유행했던 명기明器의 하나로 만들어진 것으로 매죽의 무늬와 형태로 보아 16세기 후반의 광주 일대의 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수록처]
공아트스페이스, 『거화추실』, 2010, pp. 98-99.
德園美術館, 『朝鮮時代陶磁名品圖錄』, 1992, 도 4.
조선관요박물관, 『조선도자수선』, 2002, 도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