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장印章의 역사는 중국에서 전래함으로써 시작되어 삼국시대에 국새國璽나 관인官印 위주로 인장의 사용이 확대되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 개인이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인장, 즉 사인私印의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고려 인장 또한 대부분 사인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시대 인장은 개성 부근에서 출토된 것이 다수인 점으로 미루어 개성에 거주하던 귀족 및 중앙료층이 주로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작품은 인신印身 위에 원숭이가 열매 위에 앉아 한 손은 주둥이 대고 있고 다른 한 손은 열매에 대고 있다. 원숭이는 음각으로 얼굴과 털의 표현이 세심하게 표현되어 있다. 인면을 제외한 인뉴와 인신에는 담백한 청자유가 시유되어 있어 원숭이의 형태미를 돋보이게 한다.
전통적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원숭이는 고위직으로의 출세를 의미한다. 원숭이를 뜻하는 글자 ‘후_’가 제후의 ‘후候’와 발음 및 성조가 동일한 까닭이다. 중국의 전통 문양 중 ‘제후에 봉해져 인장을 수여 받는다’는 의미를 지닌 ‘봉후괘인封侯掛印’은 원숭이가 인장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나아가 당시 관직에 나아가는 가장 중요한 통로가 과거시험이었기에 원숭이는 학문 성취, 과거급제의 의미도 함께 지니게 되었다. 인장이라는 자체가 이미 관인으로 상징높은 지위를 의미하기 때문에 원숭이 모양의 고려시대 인장에는 과거급제 및 고위 관리로의 출세를 바라는 의미가 강하게 담겨있다.
인문은 璽(옥새 새)로 보인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상형청자 2』, 2023 발췌.
[참고도판]
1. <청자원숭형인장>, 국립중앙박물관.
2. <청자원숭이형연적>, 高 9.8cm, 간송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