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검寅劍은 조선 왕실에서 벽사용辟 邪用으로 만든 검으로 사인검四寅劍 또는 삼인검三寅劍을 제작했다. 이는 민간에도 전파되어 재앙을 쫓고 사귀를 잡는 무구로 사용되기도 했다. 사인검은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 인시寅時를 맞춰 만들어진 검이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의 왕실에서는 태조(太祖, 재위 1392-1398) 때부터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공장이는 다른 일은 별로 없고, 다만 별조궁別造弓과 사인검四寅劍을 만드는 일이어서 공장이의 숫자가 많은 것이다. 지금 같은 흉년에 정지하라고 명하는 것은 곤란하지는 않으나, 별조궁은 여느 때에 변방의 장수와 수령에게 상사賞賜하는 것이므로 군무軍務의 일이기에 부득이해서 하는 것이다. 사인검은 해마다 주조鑄造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인년에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은 조종 때의 옛일이며, 올해가 마침 인년이므로 주조하라고 명하였다. 이제는 일이 거의 끝나서 다음달 중에는 끝날 것이라 한다. 그런데 이제 멈추라고 명한다면 뒷날 다시 만들 때에는 그 폐단이 더욱 심할 것이므로, 일을 멈추게 하지 않은 것이다. 이 뜻을 정원은 알라.”
이와 더불어 사인검의 용도에 관해서는 ‘재앙을 물리치는 도구’, ‘재앙을 물리치기 위한 것’, ‘사귀를 물리칠 수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오로지 벽사를 위한 주술적 목적을 가지고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사인검을 만드는 인년, 인월, 인일, 인시는 양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이다. 12지 중 양에 속하는 자子, 축丑, 인寅, 진辰, 오午, 신申 중 양의 기운에 속하는 천간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과 결합한 간지에 만들어지며, 특히 오행에 직접적으로 속한 인寅과 진辰에 제작한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본 작품은 검신에 27자의 전서체 검결을 새겼으며, 그 뒷면에는 북두칠성을 비롯한 28좌의 별자리를 새겨 넣었다. 검결은 검명인 삼인검을 포함한 27자인데 ‘삼인검건강정 곤원령일월상 강전형휘뢰전 운현좌퇴산악 현참정’으로 인검이 가진 벽사와 제의적 기능의 핵심을 표현하고 있다. 반대면에 새겨진 북두칠성은 칠성에 한 개의 별이 추가된 팔성일조 형식으로 새겨졌다. 이렇게 새겨진 북두칠성은 함께 새겨진 28수의 북극성을 대신하여 중심을 상징한다. 코등이에는 범어로 ‘옴마니반메훔’을, 칼자루에는 참사부를 금상감하였다. 검두는 여의문으로 28수를 넣었다. 이러한 길상적인 문양들의 조합은 삼인검의 상징성을 극대화시켰다. 본 작품과 유사한 것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사인검이 있다. 형태, 문양, 배치 등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이성곤, 「조선시대 사인검(四寅劍)의 연구」, 『한국사연구휘보』139, 국립민속박물관, 2007.
이석재, 「인검(寅劍)의 벽사(辟邪)원리와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71, 한국민속학회, 2020.
[참고도판]
1. 사인참사검, 조선, 長 100, 철에 금은입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덕수1968).
2. 인검, 조선, 長 101, 금속, 국립고궁박물관(창덕26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