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출품작은 현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의 탄금대를 그린 것으로 필치와 화법으로 보아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6)와 절친했던 화원 복헌 김응환(復軒 金應煥, 1742-1789)으로 추정된다. 정조의 어명에 따라 1788년 가을, 단원 김홍도와 그의 선배인 김응환은 금강산을 처음 해후한다. 정조는 금강산 일대의 아름다움을 그림으로 확인하고 즐기기 위해 "금강산과 네 군(단양·청풍·영춘·제천)의 산수를 그리라"며 파견을 하명하였다. 이를 받들어 김응환과 김홍도는 나란히 영동과 금강산 일대를 여행하며 사경[寫景: 경치를 묘사함] 했다. 정조는 각 고을에 특별히 음식을 제공하고 극진히 예우하도록 어명을 내렸다고 한다. 당시 이런 예우가 없었다면 금강산 스케치 여행은 힘들었을 것이다.
김응환은 남종산수화를 바탕으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법을 계승한 필치를 본 작품에서 여실히 드러냈다. 골산은 거친 갈필에 미점을 사용한 미법산수로 표현하고, 물가는 옅은 담채와 부드러운 발묵을 가미한 화법을 고스란하게 담았다. 특히 본 작품은 18세기 후반 실경화풍의 대목을 잘 드러내주는 작품으로 유람과 기행의 유행을 알게 해주는 시각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