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見林, 金斗樑印
당대 시인 최국보崔國輔의 「소년행少年行」에는 다음과 시문이 있다.
遺却珊瑚鞭 산호 채찍 잃어버리니
白馬驕不行 백마는 뻗대며 가려 하지 않는다.
章臺折楊柳 장대에서 버들가지 꺾으니
春日路傍情 봄날 길가의 정이로구나.
이는 귀족 자제와 기생의 사랑을 버드나무에 비유한 내용으로 풀이된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소년행」의 호쾌한 젊은이의 기상과 쾌락의 추구를 흠모하여 이를 시의도로 그리기도 하였다. 단원 김홍도의 『산수일품첩山水逸品帖』 중 「소년행락少年行樂」에는 화면의 중심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버드나무와 그 앞을 지나는 말을 탄 인물이 그려져 있다. 이처럼 주로 물가에 서식하는 버드나무의 습성으로 인해 버드나무는 전통적으로 여성성이 있다고 여겨졌다. 더불어 버드나무의 상징성은 다른 이미지와 결합하여 보다 심화된 내용을 표현되기도 하여 버드나무가 새와 함께 표현될 때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 등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이욱진,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버드나무의 春情」, 『동아문화』53,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