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출품작은 소나무, 학, 거북 등 십장생에 용과 대나무를 더해 독특한 풍격을 갖춘 19세기 분원 청화백자이다. 청화백자에 시문된 십장생문은 당시 민화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평면의 와 달리 입체에 그려졌기 때문에 도안의 배치가 좀 더 자유로운 것이 특징이다. 표현 방식이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습합현상 즉 십장생과 관련 없는 소재가 반영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본 작품에는 일반적인 십장생문 자기에는 보이지 않는 용문이 그려졌다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용은 국왕을 나타내는 상징물이자, 19세기에 들어 복을 불러오는 보편적 길상의 의미로 확대된다. 본 작품에 시문된 바다 위에 떠 있는 용맹한 기상의 해룡은 작품의 품격을 높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19세기의 백자청화운룡문호와 얼굴의 형태, 뿔의 모습, 수염의 방향, 눈의 위치 등이 정확히 일치한다. 운문의 형태나 여의두의 모습 역시도 많은 공통점을 볼 수 있다(비교도판).
사슴, 학, 거북의 표현이 암수를 구분하여 표현하였으며, 유색이 뛰어나고 청화의 색에 농담을 주는 등 매우 공들여 채색하였다.
[참고문헌]
최경화,「조선후기 십장생문 백자 연구」
『미술사학연구』제295호(한국미술 사학회, 2017), pp.83-110
[비교도판]
<백자청화운룡문호>, 높이 51.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