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작품은 능화창菱花窓을 본뜬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구성과 정교한 세공이 돋보인다. 중앙에는 화당초문이 밀도 있게 배열되어 있고, 테두리 부분에는 약간 더 큰 조각들이 일정한 리듬을 이루며 격자무늬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단순히 실용적인 목적을 넘어 장식성과 미적 완성도를 추구한 결과이다.
조선 전기 나전칠기螺鈿漆器에 나타나는 새로운 특징 중의 하나는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작은 꽃무늬와 금속선을 이용하지만, 바탕의 칠이 드러날 정도로 여백을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나전칠기 공예품은 주로 왕실이나 상류 계층에서 사용되었으며, 제작에는 많은 시간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었다. 이 나전반螺鈿盤은 조선시대의 정교한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화려한 꽃잎 문양과 섬세한 테두리 장식이 특징이며, 나전의 은은한 광택이 어두운 바탕과 대비를 이루어 뛰어난 시각적 효과를 자아낸다.
[출품이력]
Christie’s, Live Auction 20621, Japanese and Korean Art Including the Collection of David and Nayda Utterberg, New york, 2022.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 『나전칠기 - 천년을 이어 온 빛』, 2006.
[참고도판]
<모란당초나전반牡丹唐草螺鈿盤>, 조선 16세기, 高 3.7, 34.5×47㎝,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TH-363).
<나전칠당초문능화형반螺鈿漆唐草文菱花形盤>, 조선 15-16세기, 高 4.1, 30.5×44.1㎝,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2015.5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