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TORIES 칼럼

부처님과 불국토를 지키는 수호신, 사천왕

2023. 05. 16
목록으로

1.jpg

 

2-1_수정.jpg

 

2-2_수정.jpg

 

3_수정.jpg

 

4_수정.jpg

 

5-1_수정.jpg

 

5-2_수정 (2).jpg

 

부처님과 불국토를 지키는 수호신, 사천왕

1. 사천왕四天王은 부처님과 불국토 나아가 불법佛法의 모든 영역과 사찰, 국가 등을 지키는 수호신이라 할 수 있다. 불교의 많은 신들과 같이 사천왕 역시 인도의 민간 신앙에서 불교로 흡수되어 호법신護法神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래 인도에서 신장神將들은 머리에 터번 또는 관을 쓰고 나신의 상체로 표현되어 인도의 왕과 귀족들의 모습과 유사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과 한국, 일본으로 전래된 사천왕은 대부분 갑옷을 입은 무장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사천왕 복식의 변화는 무신武神의 이미지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불법과 중생을 수호하는 대승불교 수호신으로서의 신성성을 강조하는 것으로도 생각된다. 더불어 갑옷의 원류는 인도미술의 항마성도상降魔成道相에 등장하는 마군魔軍에서 찾기도 한다. 항마성도 장면에 등장하는 마왕魔王 마라 파피야스मार पापीयस्와 그의 권속인 마군들의 갑옷을 입은 모습이 중앙아시아 사천왕과 팔부중八部衆의 모습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2. 한국에서 사천왕에 대한 신앙은 이른 시기부터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사천왕사四天王寺 등이 있다. 호국적 성격의 사찰이라 할 수 있는 사천왕사는 『금광명경金光明經』에 나타난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금광명경』에 따르면 사천왕은 『금광명경』을 수지受持하는 국가와 개인을 보호하겠다고 서원誓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천왕은 불법의 수호신일 뿐만 아니라 국가와 개인까지 불법을 따르는 모든 이들을 지키는 수호신으로서 시대를 불문하고 많은 이들에게 신앙되어왔다.

3. 조선시대에 들어서면 고려시대까지 조성되던 사천왕과는 다소 변화를 보이게 된다. 고려시대까지 탑을 든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은 비파를 들게 되며,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은 검,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은 용과 여의주,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은 탑을 지물로 지니게 된다. 조선시대 사천왕의 지물과 방위는 다소 복잡한 도상 체계를 보이며 나타나고 있으나 대체로 이러한 변화는 조선 전기 티베트계 명 양식의 유입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 조선시대 17-18세기까지 사천왕은 대부분 대형소조상으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18세기 중반을 넘어가면 사천왕은 조각 대신 회화로 대체되어 20세기 초반까지 도상의 큰 변화 없이 조성된다. 이렇게 조성된 사천왕도는 주로 전각 내부 후불탱의 좌우에 봉안되거나 천왕문에 봉안되었다. 또한 영산재靈山齋나 수륙재水陸齋 등 의식을 치루게 되면 도량의 수호신으로도 배치되었다.

5. 금번 제48회 메이저옥션에 출품될 사천왕도(Lot. 048)는 오른손으로 보검을 들고 왼손으로 날을 받쳐 들고 있어 조선 후기 동방지국천왕의 보편적인 도상 형식을 보여준다. 특히 오른손을 아래로 내려 검을 위로 들고 있는 것은 1897년 보은 법주사 사천왕도, 1904년 영광 불갑사 사천왕도 등과 유사하다. 부릅뜬 눈과 앙 다문 입은 모든 악귀惡鬼로부터 부처를 수호하겠다는 굳은 결의를 나타내고 있으며, 역동적인 동세에 무장한 무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의大衣와 천의天衣는 적색과 녹색의 대비를 이루며 흉갑胸鉀과 퇴갑腿鉀 등 갑옷에는 화려한 문양을 표현하였다. 섬세한 필치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사천왕도 도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이아트옥션, 김현우

 

목록

현재 진행중인 경매가 없습니다.

확인